Amazon Linux 2
- 아마존에서 만든 리눅스 가상머신 이미지
- 아마존 클라우드에서 동작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고 함(가볍고, 클라우드에 필요한 것만 들어있음)
- Red hat의 old version을 베이스로 만듬 (자동설치시 yum을 사용)
※ 최신버전의 Red hat, CentOS는 자동설치시 dnf사용
putty 다운로드 하기
https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latest.html
위의 링크로 들어가서, 아래의 파일을 다운한다. (Windows 운영체제의 경우에만)
Amazon Linux 2 생성하기
아마존 사이트 - 서비스 - EC2 (Elastic Compute Cloud 2 -- 컴퓨팅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.가상머신) 들어간 후
단계 3 )
단계 6 )
위와 같이 설정. ( 나머지는 기본 설정 그대로 )
이후 시작하기 버튼 클릭 후 새 키페어 생성해 키페어 다운로드
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
인스턴스에 들어가면, 다음과 같이 Linux 생성됨 (이름(Amazon Linux 2)은 직접 변경한 것임)
해당 인스턴스 클릭 후 상단의 '연결'버튼 클릭
이후 나타나는 페이지의 SSH 클라이언트 목록 클릭 후
위의 ssh -i ~ 명령 복사 후 아래와 같이 sshkey가 있는 디렉토리로 가서 해당 명령 입력
이때 warning이 뜨는데, 그 원인은 사용자만 읽기 권한이 주어져야 하는데 여러 사용자에게 읽기, 쓰기 권한이 주어져 있기 때문임
이를 해결하기 위해
- puttygen으로 putty용 키 변환
- (윈도우의 경우) 권한 변경
(리눅스의 경우) chmod 400 sshkey.pem 명령어 사용
puttygen으로 putty용 키 변환하기
위에서 다운받은 puttygen.exe실행 - Conversions - import key 클릭 - sshkey.pem 선택 후 열기버튼 - Save private key
클릭 - 경고문 yes 클릭 - sshkey 입력 - 해당 폴더에 sshkey.ppk(ppk는 PuTTY Private Key의 약자) 생성됨
putty.exe 실행
인스턴스 페이지의 퍼블릭 IPv4 주소 복사한 것 IP에 입력
Connection - SSH - Auth에서 Browse누른 후 sshkey.ppk 선택 - Open 버튼 클릭
putty 접속
생성된 command 창의 login as 에 "ec2-user" 입력 - 접속됨
이후 command 창에
- sudo yum update
- sudo yum install httpd
- cd /var/www/html
- sudo touch index.html
- sudo vi index.html - i - 입력 - esc - :wq
- sudo service httpd start
인스턴스 페이지의 퍼블릭 IPv4 주소를 복사해 주소창에 입력해보면, 다음과 같이 웹서버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유튜브 동영상 띄우기
유튜브에서 원하는 동영상 골라서 - 공유 버튼 - 퍼가기 버튼 - html 코드 복사
command 창에 sudo vim index.html 명령어 입력
i - 해당 코드 복사 - esc - :wq
출력 결과
끝내기
putty command 창에서 exit 명령어 입력해 접속 차단
생성한 인스턴스 종료해주기 (꼭!)
네크워크 및 보안 - 보안 그룹 - 인바운드 - ssh ip 변경해서 현재 장소 아닌 다른 ip 의 장소에서도 접속 가능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AE (Auto-Encoding Variational Bayes) 리뷰 (0) | 2022.03.24 |
---|---|
Quick DBD (0) | 2021.10.15 |
[Unix] vi 에디터 사용하기 & Shell 명령 (0) | 2021.09.05 |
[AWS] 스토리지 활용 웹사이트 만들기 (0) | 2021.08.10 |
[Linux] 프로세스와 실행 (0) | 2021.08.08 |